C
-
7. Salary 출력_상수 사용하기C 2021. 1. 7. 16:04
이번에는 상수를 정의해서 연봉을 계산해보도록 하자. 먼저 상수에대한 정의를 해주어야한다. 그 방법은 #define (변수이름) (상수숫자) 이렇게 위에다가 적어주면 된다. 그후 int main() 을 똑같이 쓰고 변수가 정수일 경우에는 int~ 이런식으로 진행 했지만 지금 monthsalary를 1000.5 로 정의했기때문에 double 혹은 float 을 사용해준다. (내경우에는 double을 사용했다.) 그후 print 할 수 있는 코드를 작성해준다. 그러고나서 실행하면 연봉을 계산 할 수 있다.
-
5. int형의 최댓값 최솟값 출력하기C 2021. 1. 5. 16:23
이 전에 글에 int형의 메모리 크기를 4byte로 출력을 했다. 4byte에 담을 수 있는 숫자는 한정적이며 정수 범위에서 21억xxx 만큼 출력을 할 수 있다. 그래서 int형이 가질 수 있는 최댓값을 INT_MAX 라는 명령어로 출력을 해보자. 이제까지는 #include 의 헤더파일만 사용했지만 INT_MAX 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라는 헤더파일을 추가로 사용해야한다. 이렇게 하면 "변수 x의 최댓값은 21억xxx 입니다" 라는 문장이 출력된다. 만약 여기서 x +1 을 출력한다면? int 형이 가질수 있는 최댓값은 정해져있기때문에 +1을 한다면 더이상 더하지 못하고 -최솟값이 출력된다. 이렇게해서 최댓값과 최솟값을 출력할 수 있다.
-
4. float 형과 double 형 출력하기C 2021. 1. 5. 15:45
지금까지 int 형만 출력을 해보았다. int형은 정수만 담기 때문에 실수는 담지 못한다. 실수를 사용할때는 새로운 자료형을 사용해야하고 그 type이 float 이다. 하지만 float형은 메모리 크기가 4byte 이기 때문에 저 y의 숫자를 모두 담지 못하고 중간에 잘려서 필요없는 숫자들이 공간을 차지 할 것이다. 그래서 double형을 사용해야하는데 double 은 메모리 크기가 8byte이기 때문에 z의 수를 모두 출력 할 수 있을 것이다. int형을 출력할때는 '%d'를 사용했고 y와 z의 사용된 '%.2f'는 '소수점 둘째 자리가까지 출력 하겠다' 라는 것이다. 이렇게 작성된 코드를 출력하게되면 x= 500 y=1234567(이하 이상한 숫자) z=123456789.12 가 출력될것이다.
-
3. int형 size출력하기C 2021. 1. 5. 15:26
int형의 메모리 크기를 출력해보겠다. 메모리 크기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c 자체에서 제공되는 sizeof라는 명령어를 사용해야한다. 코드를 작성해볼건데 이렇게 되면 int형이기 때문에 %d를 쓰고 , 후에 sizeof(x)를 넣게 되면 x의 메모리 크기가 나올것이다. int형의 메모리 크기는 변수가 어떻든간에 4byte이기 때문에 출력을 하게되면 "x의 메모리 크기는 %d 입니다" 라고 출력될것이다. 하지만 터미널환경에서 출력해본결과 오류가 발생한다. 분명 int형을 출력할때 %d 로 알고있지만 %d 아래에 물결 표시로 %lu라고 나와 있어 이부분이 잘못 되었던것 같다. 이부분을 수정해서 실행 해본결과 x의 메모리 크기는 4 입니다. 라고 출력 되었다.
-
1. Hello world! 출력하기C 2021. 1. 5. 13:42
먼저 터미널을 켜서 명령어를 이용해 아래의 작업을 실시한다 1. 데스크탑에 '1. Helloworld' 라는 디렉터리를 만든다 2. '1.Helloworld' 디렉터리 안으로 들어간다 3. 'helloworld.c' 라는 파일을 만들고 4. 편집기를 이용해서 'helloworld.c' 안에 들어간다. 5. "Hello world" 출력을 위한 코드를 작성해 준다. 코드가 뜻하는것은 아직 모르기때문에 설명할수는 없다. 코드를 다 작성한후 esc를 누르고 :wq를 누르면 편집기에있는 코드를 저장후 터미널 환경으로 나갈 수 있다. 그다음 위의 코드를 실행하는 파일을 만들어 줄건데 gcc -o 실행하는파일이름 코드가작성된파일.c 를 입력하면 왼쪽에 exec파일이 생긴다 그후 터미널 환경으로 가서 ./실행하는파일..